본문 바로가기
고등

고등학교 모의고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 2023. 2. 24.
반응형

이제 3월이 되면 고등학생이 되고 1학년 첫 모의고사를 봅니다. 첫 수능유형의 시험이니만큼 떨라고 큰 의미를 두게 되지만 첫 시험은 너무 큰 부담을 갖지 않기를 바랍니다. 3월 모의고사에서 살펴봐야 할 점과 모의고사 성적표에서 중점적으로 봐야 하는 내용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프라인 모의고사

수능에 대비하기 위한 오프라인 시험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

실제 수능문제를 출제하는 한국교육평가원에서 실시하는 시험으로 고등학교 3학년 6월, 9월에 실시합니다. 재수생을 포함한 수험생 전체가 보는 시험이므로 가장 수능과 비슷한 시험입니다. 6월, 9월 모의고사 성적 특히 9월 모의고사 성적은 수시 지원할 학교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또한 그해 수능의 난이도나 경향을 예측해 볼 수 있기 때문에 더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전국연합학력평가

교육청에서 출제하는 시험으로 고등학교 1, 2학년은 3월, 6월, 9월 11월에 실시하고 고등학교 3학년은 3월, 4월, 7월, 10월에 실시합니다. 수능 시험의 방 식고 ㅏ유형을 경험하게 하고 익숙해지도록 하면 현재 자신의 수준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서울, 경기, 인천, 부산만 전국단위 시험을 보고 나머지는 그 지역 내에서만 시행하기 때문에 감안해서 표준점수나 백분위결과를 보셔야 합니다.

 

고등학교1학년이 3월에 처음 보는 시험은 전국연합학력평가 시험입니다. 내신만 보던 아이들로써는 무척 어렵게 느껴질 수 있고 특히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친구들은 성적표를 보고 많이 힘들어하게 됩니다. 너무 크게 실망하거나 의미를 두지 말고 내가 어느 부분이 약한지 확인하고 마음을 다잡아 보세요.

 

 

모의고사 성적표

전국연합학력평가에는 원점수, 표준점수, 백분위가 다 나오지만 6월, 9월 평가원 시험과 수능에서는 원점수는 나오지 않습니다. 실제 정시에서 대학은 표준점수를 사용합니다.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관련해서는 따로 설명해 두었으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고 (수능 성적표 읽는 법) 이외에 모의고사 성적표에서 자세히 볼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목별 배점과 득점평균

과목의 영역별로 배점이 어떻게 되는지 이중에 득점상황이 어떠한지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어과목에는 어휘와 개념,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적용, 창의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내가 받은 득점을 알 수 있습니다. 어느 부분의 배점이 큰 지도 알 수가 있습니다. 골고루 틀렸다면 전체적으로 공부를 더해야 한다는 의미이고 어느 한 영역의 득점이 좋지 않은 경우 그 부분을 보강하면 됩니다.

 

문항별 정오표

과목별로 문항별로 정답과 결과 정답률이 나오는데 정답률이 중요합니다. 정답률은 A~E로 표기되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 A:80% 이상 
  • B: 60%~80%
  • C: 40%~60%
  • D : 20%~40%
  • E : 20% 미만

즉 A문항은 많은 학생들이 맞춘 쉬운 문제, E는 많은 학생들이 틀린 어려운 문제인 셈입니다. 학생이 틀린 문항의 정답률이 어떤지 보면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난이도 별로 알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번 수학 시험에서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는데 실제로 A문항을 틀렸다면 정말 실수했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E문제를 틀리고 실수했다고 하면 다시 확인해 봐야겠죠. 어려워서 틀린 건지 정말 아는데도 실수한 건지. 이런 식으로 문항별로 아이의 실력에 대해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사실 첫 모의고사는 준비하기가 힘듭니다. 수능시험자체가 내신 하고는 달라서 교과서 시험범위를 외워서 머릿속에 넣고 간다고 잘 풀 수 있고 어느 정도 나올 유형이 빤히 보이는 식이 아닙니다. 같은 개념을 요하는 문제지만 다른 형태의 문제가 나옵니다. 그렇다고 아예 딴 세상 문제는 아닙니다. 중학생시절 해당 교과 개념을 열심히 공부했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들입니다. 내가 평소 공부 근육이 어느 정도 있다면 잘 볼 수 있을 겁니다. 일단 최선을 다해 시험을 잘 치르자에 집중하십시오.

 

다만 그냥 잘 봤어, 망쳤어 이렇게 한마디로 판단하고 성적표를 버리지 말고 나의 부족한 점을 알아보는 용도로 꼼꼼하게 살펴보고 앞으로의 공부계획을 잘 세우는데 피드백하시기 바랍니다.

 

모두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