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by ※&◆◎ 2023. 2. 22.
반응형

고등2,3학년 학생이 있다면 이정도쯤은 꿰뚫고 계시겠지만 초중등 엄마들에게는 마치 외계어와 같습니다. 어디가서 정보를 들어도 반은 못알아 듣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엄마들끼리 얘기 할때도 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수능 성적표 읽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능시험을 치르고 약 3주뒤면 수능 성적통지표를 받습니다. 수능 통지표에는 영역,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적혀있습니다. 

 

표준점수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평균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점수라고 보면됩니다. 동일한 원점수를 받았더라도 내가 응시한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표준점수는 달라집니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됬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수가 낮아져서 표준 점수 최고점이 높게 나오고, 시험이 쉽게 출제됐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가 높아 지므로 표준점수 최고점을 하락합니다.

 

2023년 수능시험에서 국어 표준점수 134점, 수학 145점으로 11점 차이로 벌어진이유가 바로 이때문입니다. 국어는 지난해보다 쉽게 출제되어 만점자 비율이 지난해 28명에서 올해 371명으로 늘었습니다. 수학은 어렵게 출제되어 만점자는 지난해 2702명에서 올해 934명으로 줄었습니다.

 

표준점수 산출과정
출처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원점수 비공개

원점수는 정책상 비공개 방침으로 정해졌으며 앞으로도 비공개로 진행됩니다.

모든 영역/과목이 임의선택이어서 각 영역/과목에 응시하는 수험생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영역/과목 간에 난이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사실상 어렵습니다. 따라서, 원점수로는 영역/과목 간 난이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해서 표준점수제를 도입한 것입니다. 원점수는 시험 총점과 대비하여 몇 점을 받았는가 하는 정보만을 나타낼 뿐 개인 간 상대적인 비교나 개인 내 영역/과목 간의 비교는 어렵습니다. 반면 표준점수는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개인의 원점수를 의미 있는 해석이 가능하도록 바꾼 점수입니다.

 

 

백분위

응시생의 등수를 알려준느 수치입니다. 응시 학생 전체 중에서 그 학생보다 낮는 점수를 받은 학생들의 비율을 백분율로 보여준다. 어떤 과목의 성적 백분위가 5%라면 나와 표준점수가 같거나 낮은 응시생이 95%란 이야기이고 나는 상위 5%에 해당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백분위점수 산출방법
출처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등급

총 9등급으로 되어있으며 표준점수에 근거해서 수험생을 나눈것입니다. 국어,수학, 탐구에서는 영역과목별 전체 수험생의 상위 4%가 1등급, 그다음 7%가 2등급, 그다음 12%가 3등급입니다.

 

2023년 수능 등급컷

다음은 메가스터디 사이트에서 공개하는 2023년 수능 등급컷입니다.

  • 국어, 수학은 표준점수로, 영어, 한국사, 탐구 등 그 외 과목은 원점수로 등급컷이 제공됩니다.
  • 국어, 수학은 같은 선택과목, 같은 원점수라도 공통과목/선택과목의 점수 조합에 따라 등급이 다를 수 있습니다.
  • 국어, 수학은 선택과목별로 원점수 만점에 해당하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2023년 수능 등급컷
출처 : 메가스터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