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를 준비하며 꼭 알아야 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님들도 기본 용어와 상식에 대해서는 꿰고 있어야 합니다. 입시는 일종의 전략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입시정보를 얻기 위해 설명회를 가도 기본 단어나 상식을 모르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고 돌아올 수 있습니다. 입시와 관련된 기초 용어를 살펴보고 2024년 대입전형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시와 수시
가장 처음 접하는 단어가 정시와 수시입니다. 수능 시험 전에 지원하느냐 시험 후에 지원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정시는 수능 이후 학생을 선발하는 수능 점수를 기반으로 한 제도입니다. 수시는 정시 모집 전에 학생부와 내신을 기반으로 선발하는 제도입니다. 수시는 보통 9월~11월 사이, 정시는 12월~2월 사이에 원서 접수를 진행합니다.
수시는 시험 일정이 겹치지 않고 카이스트나 경찰대, 사관학교등의 특수학교를 제외하고 최대 6군데까지 지원할 수 있습니다. 정시는 가, 다, 다 학군별로 한 학교씩 3군데 지원할 수 있습니다.
정시는 수능시험 위주로 평가하므로 한 가지 준비에만 몰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한 번의 시험으로 결정되는 것이니만큼 눈치싸움도 있고 이변도 많이 일어난다.
수시는 수능 외에 여러 가지 다른 요소로 학생을 뽑는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 학생부교과전형(교과전형), 논술전형, 지역균등전형(지균), 실기전형, 등이 있습니다. 정시보다 기회가 많고 수능 전에 대학이 결정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대학마다 어떤 것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미리 알아보고 지원해야 하며, 수능최저등급을 요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수시로 지원한 대학 중 1개라도 붙으면 정시로는 대학에 들어갈 수 없다는 것입니다.
2024년 대학입시 시행 계획
전체 모집인원 감소, 전년도 선발 기조유지
- 전체 모집인원은 344,296명으로 2023학년도보다 4,828명 감소
- 수시 및 정시 모집비율은 수시 79%(272,032명), 정시 21%(72,264명)
- 수도권 대학 정시 평균 모집인원 비율은 2023학년도 35.3%에서 2024학년도 35.6%로 0.3% p상승
수시모집은 학생부(내신) 위주, 정시모집은 수능위주
- 수시모집에서 85.8%를 학생부위주 전형으로, 정시모집에서 91.7%를 수능위주전형으로 선발
- 수시모집 학생부위주 2,375명 감소 정시모집 수능위주 3,611명 감소
- 수도권대학 수시모집 학생부위주 1,056명 감소, 정시모집 수능위주 전형 모집인원 593명 소폭 증가
- 비수도권대학 모집시기별(수시, 정시) 모집인원 전반적 감소
사회통합전형(기회균형, 지역균형) 모집인원 증가
- 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기회균형선발 의무화로 기회균형선발 모집인원은 전체 36,434명으로 전년대비 총 2,372명 증가
- 고등교육법 시행령에서 권고한 수도권 대학의 지역균형전형(교과성적을 활용하는 학교장추천 전형)도 전년 대비 모집인원 총 2,997명 증가
- 지방대육성법 시행령 개정으로 의대, 치대, 한의대, 약학대, 간호계열 의무선발비율이 상승함에 따라 지역인재전형 모집인원 전년대비 2,581명 증가
2024년 대학입시 전략
수능 최저를 충족하기 위해 수시와 정시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영역별 고득점을 목표로 어떤 선택과목을 택할지 잘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24년에서 2026년까지 수시의 경우는 내신, 정시는 당연히 수능이 중요합니다. 수시에 학종에 반영되었던 많은 항목이 없어지면서 내신이 무엇보다 중요해졌습니다. 하기는 각 전형별 특징입니다.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학종 : 내신+종합평가)
- 학생부 성적이라도 대학마다 전형과 반영 항목 등이 다르므로 본인에게 유리한 전형 선택이 중요
- 2024 수시의 경우 학종은 면접 비중이 확대되는 경향 : 학종에 반영항목을 축소하고 자소서를 폐지하는 등이다. 따라서 학생부에는 블라인드 항목인 인적/학적사항, 출결상황, 창의적 체험활동상황(개인별 봉사활동 미반영), 교과학습발달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3학년 미제공) 등만 평가한다.
- 학생부는 전공과 호응되는 과목 선택이 중요
학생부교과전형(교과 : 내신)
- 교과전형은 학생부 과목 반영 수가 증가, 교과전형의 경우 수도권 대다수 대학이 수능최저를 요구함
- 올해 교과전형에서도 정성평가를 하는 대학이 있어 권장과목을 살펴보는 것이 좋음
논술전형
- 논술전형은 교과를 폐지하고 논술 100%로 진행하는 대학이 늘어남
- 눈술고사와 수능최저가 가장중요
- 인문계 : 언어논술(인문논술), 언어논술+도표+그래프분석, 언어논술+수학논술, 영어제시문, 교과논술/약술형 논술
- 자연계 : 수학논술, 교과논술(국어+수학), 언어+수학논술, 과학통합논술, 수학+과학논술
정시
- 대학별 수능 성적 반영방법이 다르므로 대학별 환산점수를 산출하여 지원
- 정시 표준점수(표점)와 백분위의 차이를 이해해야 함. 표점은 원점수의 상대적 서열점수이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가지고 산출함. 백분위는 전체 수험생 중 특정 점수보다 낮은 점수를 받은 수험생의 비율을 뜻함
- 통합형 수능에 따라 수학과 탐구에서 선택과목 유불리는 여전
- 2023 정시에서 사탐과 과탐의 격차는 줄었지만 수학에서 미적분/기하와 확률과 통계의 차이는 그대로
- 고득점을 위한 선택과목이 중요함
- 수능전형은 교과평가를 반영하는 서울대와 고려대에 유의해야 한다
특수대학
특수대학은 수시원서 개수제한에 들어가지 않고 수시 때 지원해서 합격하더라고 등록여부와 상관없이 수능결과에 따라 정시에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사관학교와 경찰대학, 카지디유켄 등 이공계특성화대, 전통문화대, 농수산대입니다. 이공계특성화대 중 포스텍은 과기원이 아닌 일반대로 분류돼 수시 6회 제한 사항이 적용된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합니다.
대입종합포털 '어디가'
한국대학교교육협의회에서 만든 대입종합포털 '어디가'를 활용합니다. 대입뉴스나 자료등도 볼 수 있으니 수시로 확인해 보시고 성적관리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대입정보 검색
진로정보나 대학의 전년도 입시 결과, 모집요강, 대학별 특징 교육여건들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과의 취업률, 경쟁률등도 알 수 있습니다.
학습진단
학생부 내신성적, 수능/모의고사 성적등을 입력하여 관리할 수 있고 입력한 성적을 바탕으로 지원가능 대학도 확인가능합니다. 대학별로 환산점수도 계산해 주니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대입정보확인 포털 5가지
1. 대입종합포털 어디가 : https://www.adiga.kr/EgovPageLink.do?link=EipMain
대입정보포털
adiga,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대학입학정보
www.adiga.kr
2. 베리타스 알파 : http://www.veritas-a.com/
베리타스알파
교육 전문 신문, 대입 고입 입시정보, 대학 고교 입시 전형, 교육정책 분석, 학습 정보
www.veritas-a.com
3. 에듀진 : http://www.edujin.co.kr/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인터넷 신문
www.edujin.co.kr
4. 진학사 : https://www.jinhak.com/
합격예측은 진학사!
정시점수공개이용현황 0 내신성적 미입력 수능성적 미입력 4년제 점수공개 0건 전문대 점수공개 0건 결제내역 0 My쿠폰 0 2022년 입시일정
www.jinhak.com
5. 오르비 : https://orbi.kr/
오르비
오르비는 상위권 수험생들을 위한 인터넷 강의, 수험서, 입시정보,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orbi.kr
도움이 되셔서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일반고 입시 절대평가로 변경 (0) | 2023.02.22 |
---|---|
2023년 고3 나에게 유리한 전형을 찾아라 : 2024대입준비 수시 정시 (0) | 2023.02.22 |
국영수 공부는 엄마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교과전형 서류평가 도입 (0) | 2023.02.22 |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0) | 2023.02.22 |
혼공 전문가 효율적인 인강 듣기 스킬을 알려드립니다 (1)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