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부터 서울 일반고와 특성화고의 고입전형 평가 방식이 석차 백분율제의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바뀐다. 2023년 3월 중학교 2학년의 평가 방식이 변경되는 것이다. 어떤 취지로 변경되는지 변경 후에는 어떻게 변경되는 것인지 자세하게 알아보자.
중학생 평가방식
중학생의 성적 평가 방식은 2012년 성취평가제를 도입하고 절대평가로 바뀌었다. 중등시절 동안은 절대평가로 평가되지만 고등학교 입시에서 여전히 상대평가가 적용되고 있었다. 자유학년제인 1학년을 제외하고 중학교 2, 3학년동한 받은 학점 (A~E)와 1~3학년 간의 출결상황, 봉사, 창의적 체험활동(창체) 등의 평가점수를 환산해서 다시 백분율 석차를 매기는 방식이었다.
석차배분율이 폐지되고 절대평가 방식이 되면 A~E학점별로 점수를 계산하지 않고 가장 낮은 등급인 E(60점 미만)가 포함된 비율만을 계산한다. 예체능 음미체의 경우에는 C의 갯수를 계산한다. 여기에 전 학년 출결상황만을 포함한다.
절대평가 취지
중학교 성취평가제 취지에 맞게 고입 전형을 개선한 것이라고 말하며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 진로를 고려해서 고등학교 진학을 하도록 하자는 목적이다.;
중3 기말 성적 마감시기 개선
기존에 중학교 3학년의 기말고사 성적마감시기는 11월 초였다. 마지막 학기에 입시 평가 자료 제출을 위해서 기말고사를 일찍 마감하는 등 비정상적으로 운영이 되고 있었던 것이다. 이것을 12월 중순으로 정상화 할 예정이다. 서울시 교육청은 앞으로는 12월 말까지만 전산시스템에 성적을 입력하면 일괄 처리해서 교과 성적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중학교 성취평가제
비교집단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의 상대평가에서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한다.
성적표기 방식
- 일반교과 : A(성취율(원점수)90%이상 ), B(90 미만~80), C(80 이상 미만~70), 이상, D(70 미만~60), E(60 미만)
- 예체능교과 : A, B, C
- 교양교과 논리학 등 : P
석차 삭제 및 고교와 동일하게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병기
예를 들면 영어 성취도 (수강자수) : A(286),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 95/78.3(12.1)
'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등학교 모의고사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3.02.24 |
---|---|
고교학점제 앞으로 2년 뒤 2025년 전면 도입 (0) | 2023.02.23 |
2023년 고3 나에게 유리한 전형을 찾아라 : 2024대입준비 수시 정시 (0) | 2023.02.22 |
국영수 공부는 엄마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교과전형 서류평가 도입 (0) | 2023.02.22 |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0) | 2023.0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