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특목고 자사고 일반고의 교육과정 차이 및 고등 선택과목의 종류

by ※&◆◎ 2023. 2. 25.
반응형

고등학교 유형별로 교육과정이 다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수목적 인재 양성을 중시하는 특목고, 교육과정 자율성이 확보되어 있는 자사고, 일반고는 그 설립 목적에 맞추어 교육과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보통 어느 학교가 상위권 대학에 더 많이 갔느냐를 따져서 고등학교를 결정하지만 3년간 어떤 것을 공부하는지 우리 아이에게 맞는지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졸업 필수 이수 단위

고등학교 졸업 자격이 주어지는 총 이수 단위는 204점입니다. 일반고는 필수교과 94 단위와 자율편성 86 단위, 창의적 체험활동(창체) 24 단위로 되어 있습니다. 자사고는 일반고와 졸업이수단위 구성이 비슷합니다.

 

외고, 과학고, 국제고, 예체능고등의 특목고는 분야별로 특수 인재를 양성하다는 목표로 학교를 설립하였으므로 교육과정상 전문 교과 과정이 편성되어 있습니다. 외고는 전문교과를 72 단위 이상 이수해야 하고 전공 외국어를 포함하여 2개 국어를 편성하고 정공 외국어 비율이 72 단위 이상되어 야 합니다. 과학고의 경우는 수학과 과학등의 전공과목을 72 단위 이상 이수해야 하고 예체능고도 전공과목을 72 단위 이상 이수해야 합니다.

 

다음은 일반고와 자사고의 교과이수단위와 교과목입니다.

 

2015교과과정 일반고 졸업이수단위 및 교과목
2015교과과정 일반고 졸업이수단위 및 교과목

 

 

고등 선택과목

보통 교과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나뉩니다. 고등 1학년때는 공통과목을 듣고 2, 3학년에는 진로와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합니다.

 

선택 과목

일반선택 과목과, 진로선택 과목으로 나뉩니다. 기초 교과목 중에 일반 선택과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어과목 :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독서, 문학
  • 수학과목 : 수 1, 수 2, 미적분, 확률통계
  • 영어과목 : 영어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영어 1, 영어 2
  • 한국사

진로선택과목은 고전 읽기, 경제 수학, 영미 문학 읽기 등의 좀 더 심화된 과목입니다. 학생의 진로와 지원하고자 하는 학과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대입에 유리합니다. 학생기록부에 기록이 되어 평가에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은 생기부를 바탕으로 정성평가하는 전형입니다. 학종 지원을 고려하다면 학과 전공과 관계 깊은 과목은 반드시 수강하고, 수업 탐구활동과 성적 관리를 충실히 해야 합니다. 성적과 함께 학업역량, 계열적합성, 발전가능성, 인성 등을 생기부 기록을 토대로 평가하기 때문입니다. 

 

교과전형의 경우에는 학종과 달리 성적으로 정량평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본인이 가장 높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렇다 해도 선택과목은 기본적으로 희망 전공과 관계 깊은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습니다. 재학생의 경우에는 어느 방향으로 수시 지원을 할지 아직 확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일반 선택과목이 문제입니다. 상위권 학생들이 국어는 언어와 매체(언매), 수학은 미적분을 선택하는 비율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실제 표준점수도 높게 나오고 있어서 교육전문가들도 언매와 미적분을 선택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상위권학생들이 2022학년도 모의고사와 수능, 2023학년도 3월 모의고사에서 선택한 과목의 비율입니다.

 

국어선택과목 별 비율
출처 : 종로학원
수학 선택비율
출처 : 종로학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