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청년 자산형성지원 통장사업 3가지 희망저축계좌Ⅰ 희망저축계좌Ⅱ 청년내일저축계좌

by ※&◆◎ 2023. 3. 10.
반응형

나라에서는 자산형성지원사업을 만들어 청년이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크게 세 가지 사업이 있는데요 희망저축계좌 Ⅰ, Ⅱ와 청년내일저축계좌가 있습니다. 지원자격과 요건을 확인하셔서 대상이 되신다면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는 23년5월1일부터 19일까지 신청으로 4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이 가능합니다. 하기에 자세한 내용 정리해 두었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 한눈에 정리

희망저축계좌 Ⅰ, Ⅱ와 청년내일저축계좌를 한눈에 정리합니다.

◎ 가입대상에 따라 구분되며 각 1 가구(1인) 1회에 한하여 지원합니다.

◎ 지원금을 1번이라도 수령한 경우에 해당 사업은 재가입이 불가합니다.

◎ 과거 중도해지자의 경우에는 본인 적금, 지원금 계좌 해지 완료 확인 후에 지자체에서 재가입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희망저축계좌 Ⅰ, Ⅱ 가입 가구원의 청년일 경우 청년내일저계좌에 동시 참여가능합니다.

◎ 단, 각 통장별로 1회에 한하여 수혜가능하며, 하나의 통장에 참여하여 지원금을 수령한 이후 타 통장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희망저축계좌Ⅰ 희망저축계좌Ⅱ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대상 일하는
생계, 의료수급가구
일하는
주거,교육 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측가구
일하는 생계,의료,주거, 교육급여 수급가구
및 차상위 가구의 청년
(만15세~39세)
일하는 기중중위 50% 초과 100%이하 가구의 청년
(만19세~34세)
본인저축 울 10만원 이상 자율저축 (최대 50만원까지 가능)
정부지원 30만원 10만원 30만원 10만원
기타지원 대상자별 추가지원금 지원
3년평균
적립액
(10만원
저축시)
1,440만원+이자
본인저축 360만원포함
720만원+이자
본인저축 360만원포함
1,440만원+이자
본인저축 360만원포함
720만원+이자
본인저축 360만원포함
지원조건 3년이내
생계,의료 탈수급
자립역량교육 이수
및 사례관리 등
자립역량교육 이수 및 자금사용계획서 제출

 

 

 

 

대상자별 추가지원금 지원

◎ 근로소득공제금 : 가입 시 생계급여수급 가궇인 청년에게 월 10만 원 지원 (청년내일저축계좌만 가능)

◎ 내일키움장려금 : 가입자가 전월에 12일 이상 자활에 참여하고, 본인저축액 월 10만 원 이상 적립 시 월 20만원 지원

◎ 내일키움수익금 : 가입자가 전월에 12일 이상 자활에 참여하고, 본인저축액 월 10만원 이상 적립 시 최대 월 15만 원 지원

◎ 탈수급장려금 : 가입 시 생계, 의료수급가구(청년)가 탈수급한 경우 지원

◎ 지자체지원금 : 지자체 자체사업 보조금 등 추가 매칭 가능

◎ 기타 지원금 : 민간 등과 협약을 통해 추가지원 금액 산정

 

■ 매월 저축 및 지원금 생성 입금 흐름도

① 가입자 저축

매월 1일~20일 입금 마감일 이전 자동이체가 원칙이며 부득이한 경우 22일까지 본인적금통장으로 직접 입금

② 지원금 생성

매월 123~27일 가입자별 본인적금 입금내역 근거로 통장별 지원금 생성기준에 따라 적립금액 생성

시군구 : 희망저축 Ⅰ, 근로소득장려금 생성 및 전송

한국자활복지개발원 : 희망저축 Ⅱ, 청년내일적축, 근로소득장려금 생성 (본인저축 시 자동매칭), 내일키움장려금, 탈수급장려금생성

③ 지원금 적립

매월 28일~31일 자활정보시스템에서 대상자 및 금액을 확인하고 지자체별 예탁금 계좌등에서 개인별 지원금 적립 계좌에 입금

④ 적립정보제공

익월 1일~10일 이내에 전월 말 기준으로 근로소득장려금 등의 처리결과를 확인하고 전산시스템을 통해 보건복지부, 지자체, 지역자활센처에 적립결과 제공

⑤ 내일키움수익금 입금

익월 1일~10일 이내에 지원요건 충족여부를 확인 후 매분기 매출정산 시 금액 산정하여 내일키움수익금 적립계좌에 개별 입금

⑥ 시군구 점검

행복 e음에 전송된 처리결과를 근거로 입금여부 점검

 

 

 

청년 자산형성지원 통장사업
청년 자산형성지원 통장사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