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수능이후 어떤 과목을 선택할 지가 매우 중요해졌습니다. 본래의 취지는 자신의 장래와 진급하고자하는 전공에 맞추어 선택의 기회를 넓히고자 선택과목을 도입했는데 수험생의 입장에서는 표준점수 획득에 유리한 방향으로 과목을 선택하고 있는 경향이 점점 더 두드러집니다. 최근 선택과목 트렌드 살펴봅니다.
고등학교 선택과목 고민되시죠? 서울대 전공연계 권장이수과목을 활용해 보세요!!!
통합수능 영향 : 표준점수 유리한 과목 선택 증가 중
2022학년도 수능에서 처음 통합수능이 시작되었습니다. 통합수능이 무엇인지 가볍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통합수능이란?
기존에 탐구영역만 선택하여 시험을 치뤘다면 2022학년도 수능시헙부터는 국어와 수학 영역에서도 응사 과목 일부를 선택하여 시험을 쳤습니다. 국어와 수학 두영역의 과목 구조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으로 바뀌었기 떄문입니다. 이전까지 모든 응시자가 같은 국어 시험을 보고, 인문계와 자연계의 구분만 두고 같은 수학 시험을 봤지만 지금은 수험생의 선택에 따라 각각 다른시험을 봅니다.
2022학년도 첫해 수능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이 국어의 경우는 언어와 매체, 수학은 미적분과 기하가 높게 나타나면서 이떄부터 국어에서는 언어와 매체가 수학에서는 미적분의 응시가자 증가했습니다.
상위권 학생일수록 국어는 언어와 매체를 선택
진학사의 분석에 따르면 성적이 높을수록 국어 영역에서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특히 수학에서 1~2등급을 받은 상위권 학생의 언어와 매체 선택 비율이 70%가 넘었습니다. 수학 3~4등급 학생부터는 화법과 작문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이는 표준점수를 산출하는 방식때문인데요 통합수능에서는 어렵다고 여겨지는 선택과목을 응시한 학생등의 공통과목 점수가 평균적으로 높으면 이들의 선택과목 점수가 다른 선택과목을 응시한 학생들보다 상향되기 때문입니다.
표준점수 산출방식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됬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수가 낮아져서 표준 점수 최고점이 높게 나오고, 시험이 쉽게 출제됐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가 높아 지므로 표준점수 최고점을 하락합니다. 2023년 수능시험에서 국어 표준점수 134점, 수학 145점으로 11점 차이로 벌어진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고등2,3학년 학생이 있다면 이정도쯤은 꿰뚫고 계시겠지만 초중등 엄마들에게는 마치 외계어와 같습니다. 어디가서 정보를 들어도 반은 못알아 듣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엄마들끼리 얘기 할때
digital-genius.tistory.com
수학은 미적분, 기하가 유리
통합수능 이후 수학 과목에 대한 유불리 이슈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로인해 성적과 상관없이 많은 학생들이 미적분, 기하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학년도 대입 신설 전형 : 지역균형교과전형, 신설학생부종합전형, 논술전형, 정시교과반영 (0) | 2023.03.22 |
---|---|
반수 고민과 반수 시에 고려해야 할 점 : 반수 가능한 대학, 반수생 자퇴시기 (0) | 2023.03.20 |
입시정보찾기 : 대입전형예고제 학년별 발표내용과 발표시기 (0) | 2023.03.20 |
2024학년도 디지스트(DGIST) 수시, 정시 입학 전형 시행안 (0) | 2023.03.19 |
간호학과 취업율과 간호학과 전망 그리고 2024학년도 간호학과 수시전형 정리 (0) | 2023.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