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수능시험 성적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 성적표의 해석과 활용

by ※&◆◎ 2023. 3. 8.
반응형

정시로 대학에 지원한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합격, 불합격이 결정될까요? 수능시험을 보면 성적이 발표되지만 점수 그 자체보다는 대학별로 어떻게 점수를 환산하고 과목별로 어떤 가중치를 적용하는지가 당락을 가르게 됩니다. 이번에는 수능 성적표를 이해해 보고 어떻게 해석해서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모의고사 성적표가 나왔는데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나요? 표준점수, 백분율, 등급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

 

모의고사 성적표 해석하기
모의고사 성적표 해석하기

 

 

 

다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세하는 수능시험 성적통지표 예시입니다. 하기를 보고 모르는 내용이 많다면 지금부터 꼼꼼히 잘 보셔야 합니다. 

수능 성적표 예시
수능 성적표 예시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에는 원점수가 기재되지 않고 표준점수로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표준점수

표준점수란,  과목의 응시자 집단에서 해당 수험생의 상대적인 위치나 성취 수준을 나타내기 위해 산출하는 점수로 표준점수란 전체평균을 100으로 놓고 분포시킨 상대점수입니다. 따라서 시험이 어려울수록, 내 점수가 만점에 가까울수록 표준점수가 높아집니다. 각 대학은 각자의 기준으로 이러한 표준점수를 변환해서 사용합니다. 하기 건국대 표준점수 반영예시를 살펴보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건국대 표준점수 반영예시
건국대 표준점수 반영예시

 

[ 2024 각 대학별 과목별 반영비율 ]

더 자세한 비율은 각 학교의 입시요강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전 과목을 고루 잘 보는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고 국어/영어/수학/탐구/한국사 중 특별히 비중을 둔 과목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같은 대학이라도 모집군에 따라 반영비율이 다릅니다. 그러므로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모집군에 따라 어느 과목 성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지 확인하고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2024 각 대학별 반영비율
2024 각 대학별 반영비율

 

 

정시전형에서 영어성적

영어성적은 정시전형에서 각 대학의 반영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영어 절대평가로 인해 영어가 쉬워졌다거나 영어의 영향력이 작아졌다고 생각하면 안 됩니다. 영어반영비율이 높은 학교의 경우 영어를 2등급 받는 순간 지원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하고, 평소 영어성적을 잘 받을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1. 영어 성적을 가점 또는 감점으로 활용

국어, 수학, 탐구의 백분위 또는 표준점수를 비율을 적용하여 합산한 후 총점에서 영어를 가점 또는 감점하여 반영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영어는 백분위와 표준점수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이는 영어에 비율을 적용하는 것도 아닌 데다, 총점에서 작게는 0.5점~2점 정도만을 가감하기 때문에 영어 등급이 1~2등급 낮게 나온다고 해도 총점에 끼치는 영향력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2. 백분위 환산점수에 의한 비율로 반영

대학 임의로 각 등급에 따른 백분위 환산점수를 만들어서 영어 백분위 점수를 총점에 합산하여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전국의 많은 대학이 이 방식을 사용합니다. 백분위 환산점수의 등급 간 점수 차가 얼마나 크냐에 따라, 그리고 영어 반영비율이 얼마나 높은지에 따라 실제 영어성적이 총점에 끼치는 영향이 달라집니다.

 

영어는 원점수 10점 단위의 한 등급으로 구간이 나뉘기 때문에 등급 간 점수 차이가 큰 경우 한 등급만 미끄러지더라도 총점에서 극복하기 어려운 차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백분위 환산점수에 의한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의 경우 영어성적을 반드시 환산해 보아야 유불리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출처 : EBS 입시자료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