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입시를 위해 고등학교를 자퇴하고 검정고시를 쳐서 대학에 진학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습니다. 과거에는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힘든 경우에 자퇴하고 검정고시에 응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에는 검정고시가 대입을 위한 수단 중의 하나가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검정고시 출신자가 수시지원 가능한 대학과 검정고시 출신자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방법 및 비교내신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고등학교 자퇴절차와 검정고시 준비
자퇴절차와 학업중단숙려제에 관련된 내용 그리고 검정고시 시험에 대한 일정 및출제범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에 정리해 두었습니다.
검정고시 출신 2023 수시지원 전형
검정고시출신 학생이 지원 가능한 15개 주요 대학의 전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검정고시 출신 지원가능 15개 주요 대학 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상위 15개대 중 2023 전형계획상 검정고시 출신이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은 고른 기회/예체능계열 등을 제외한 학종 논술전형 특기자전형을 합쳐 1만 6820명 규모입니다. 수시에서 최다 인원을 선발하는 학종 28개 가운데 검정고시 출신은 24개 전형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서울대 : 일반
◎경희대 : 네오르네상스전형, 수능최저 폐지
◎이화여대 : 미래인재, 수능최저 있음
◎인하대 : 인하미래인재
◎고려대 : 일반-학업우수형/계열적합형, 학업우수형, 수능최저 있음
◎건국대 : KU 자기 추천
◎성균관대 : 계열모집/학과모집, 학과모집전형에서 의예/사범계열/스포츠과학은 2단계 면접을 실시
◎서강대 : 일반
◎연세대 : 활동우수형 국제형-해외고/검정고시, 수능최저 있음
◎중앙대 : 다빈치형인재, 탐구형인재
◎서울시립대 : 학생부종합전형을 면접형과 서류형으로 분리, 학생부종합Ⅰ-면접형, 학생부종합Ⅱ - 서류형
◎숙명여대 : 숙명인재Ⅰ-서류형, 숙명인재Ⅱ-면접형, 소프트웨어융합인재 폐지
◎동국대 : Do Dream소프트웨어
◎한국외대 : SW인재
★ 서울대 지역균형선발, 연대 국제형-국내고, 인하대 인하참인재, 한양대 일반 등 4개 전형엔 검정고시 출신이 지원할 수 없습니다.
★대학 모집단위별로 수능 최저가 다르니 자세한 내용은 학교별로 모집요강을 확인해야 합니다.
※ 상위 15개 대학 :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논술전형
학종과 달리 논술전형은 검정고시 출신이 모든 전형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논술전형은 검정고시 출신의 최대 주력전형이며 학종에 이어 4397명으로 두 번째로 큽니다.
건국대 경희대 동대 서강대 성균관대 숙명여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의 9개교가 수능최저를 적용합니다.
연대 시립대 한대 인하대의 4개교는 수능최저를 적용하지 않습니다. 단, 인하대는 의예에 한해서 수능최저를 적용합니다.
◎성균관대 : 2023학년부터 교과를 제외하고 논술 100%를 적용
◎숙명여대 : 논술90%+교과10%
◎중앙대 : 논술70%+교과20%+비교과10%
◎한양대 : 논술90%+학생부종합10%
◎한국외대 : 논술70%+교과30%, 비교과를 제외
특기자전형
올해 검정고시 출신이 지원할 수 있는 특기자전형은 5개교 7개 전형 205명입니다. 예체능 특기자는 제외하고 알아봅니다.
◎이대 : 어학특기자, 과학특기자, 국제학특기자, 모든 특기자전형은 학생부 활동보고서 증빙서류 필요.
◎동대 : 실기-국어국문/문예창작, 입상자 5명을 따로 모집
입상자는 2020년 3월부터 원서접수 마감일까지 동대가 인정하는 대회 3위 이내 입상자나 일간지/문예지의 신춘문예 및 문학상 공모입상자-신인상인 경우에만 지원가능, 실기는 운문/산문 중 하나를 선택해 120분간 작성하는 실기고사도 실시
◎고대 : 실기/실적 사이버 국방 모집
사이버국방학과는 국방부 후원 하에 설치된 계약학과이며 졸업 후 사이버사령부 등 유관기관에서 장교로 7년간 의무 복무
등록금 전액을 군 가산복무 지원금으로 지원
제시문 기반 면접 + 군면접/체력검정 등을 진행
만 16세 이상 23세 이하만 지원
2023 전형계획에는 제출서류에 관한 세부적 언급이 없으나 지난해엔 활동증빙서류를 선택 제출했음
◎한대 : 실기/실적 소프트웨어인재전형, 제출서류는 학생부와 소프트웨어 관련 활동소개서, 면접 및 수능최저 없음
◎경희대 : 실기/실적 실기우수자전형 K-SW인재, 수능최저 없음, 자소서, 학생부등 제출
검정고시 수시 등급
각 학교마다 등급 산출방식이 다르지만 검정고시는 100점 만점이라도 2등급~4등급이 주어집니다.
(예시) 2023학년도 명지대 수시모집요강
검정고시출신자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대입원서 접수를 위해 검정고시 합격 및 성적 증명자료를 우편 또는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고 있는 검정고시 출신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각 시도교육청에서는 검정고시출신자 대입전형자료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청 매뉴얼
1. 나이스 대국민서비스 홈페이지에 접속하고 하단에 검정고시 버튼을 누릅니다.
2. 원하는 지역의 시도교육청을 선택합니다.
3. 검정고시 온라인접수를 누르고 대입전형 자료를 클릭합니다.
4. 상단 중간의 자료확인 및 신청을 누르고 로그인합니다.
5. 본인의 합격 연도를 확인하고 대입전형 자료 온라인 제공을 원하는 자료의 합격증번호 텍스트를 클릭합니다.
6. 최종 팝업창의 합격증명서 (1페이지), 성적증명서(2페이지)가 나오면 모든 정보가 올바른지 확인하고 하단에 동의 체크박스를 모두 체크한 뒤 신청 버튼을 누르면 완료됩니다.
검정고시 출신 대입 정시 불이익이 있나
2023학년도 정시부터 서울대학교가 정시 전형에 교과평가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1단계 수능점수 100%, 2단계 수능 성적 80점 + 교과평가 20점의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교과평가제도는 학생의 교과 이수 충실도와 교과성취도의 우수성을 평가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학교내신이 없는 검정고시 출신자에게 불리한 것이 아니냐며 불평등 이슈가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검정고시 출신자는 검정고시 성적과 수능 성적 등을 바탕으로 비교 내신을 산출해 입시에 활용하며 서울대 역시 자체 기준을 통해 검정고시 출신자들을 평가하여 선발합니다.
비교 내신
학생부 성적이 없는 학생, 특목고 출신 학생, N수생 등을 대상으로 학생부 성적을 수능시험 성적에 비추어 산출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산출방법은 보통 수능시험의 종합등급 혹은 계열별 백분위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적용하거나, 비슷한 수능성적을 받은 학생의 내신성적을 평균하여 적용합니다. 대학별로 산출 방법이 다르니 모집요강을 잘 살펴봐야 합니다.
청소년생활기록부 활용
학교 밖 청소년의 생활기록부라 불리는 청소년생활기록부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꿈드림 센터에서 6월에 신청자에 한해 작성해 줍니다. 학생부가 없는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대학은 ‘학교생활기록부 미보유자용 대체 서식’을 올려주니 학교별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교생활기록부 양식을 기반으로 출결상황,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학업노력상황, 독서활동상황,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 학교 밖 청소년의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 내 다양한 활동내용 기록합니다.
★ 2023학년도 반영대학
[서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대학교
[경기] 차의과학대학교, 한경대학교
[인천] 인천대학교
[부산] 동서대학교
[강원] 강릉원주대학교, 한림대학교
[대전] 충남대학교,
[전북] 전북대학교
[경북] 안동대학교
참고 : 베리타스 알파
'고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고등학교 입학 전형 총정리 : 과학고 일반고 외고 자사고 (0) | 2023.03.07 |
---|---|
주요 11개 대학 2024 대입전형 변경사항 총정리 : 경희대 고려대 서강대 서울대 시립대 성균관대 연세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 (0) | 2023.03.05 |
고등학교 자퇴 후 검정고시까지 : 고등학교 자퇴절차와 검정고시 (0) | 2023.03.04 |
내신 등급 동점자가 있을 때 계산하는 방법 (0) | 2023.03.02 |
2023년 고등학교 모의고사 시험 일정 (0) | 2023.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