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23 국영수 공부는 엄마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교과전형 서류평가 도입 보통 교과전형에는 내신만을 반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2024년부터 서류평가를 도입하는 학교가 늘어난다. 상위권 대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은 내신파, 수능파로 나누지 말고 두 가지 모두 준비해야 한다. 교과 평가란 학생부 교과 학습 발달 상황의 교과 이수 현황, 교과 학업 성적,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세특)을 반영한다. 모집 단위에 필요한 교과 이수 및 학업 수행 충실도를 평가하는 방식이다. 과목 이수 현황에서는 교과별 위계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진로 적성에 따른 선택 과목 이수 내용 등을 평가한다. 2022 입시에서 일부 대학이 수시 학생부 교과 전형에 서류 종합 평가를 운영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서울대가 2023 정시에 교과 평가를 도입했다. 2023년 교과전형에 서류 정성평가를 도입한 학교 20.. 2023. 2. 22.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고등2,3학년 학생이 있다면 이정도쯤은 꿰뚫고 계시겠지만 초중등 엄마들에게는 마치 외계어와 같습니다. 어디가서 정보를 들어도 반은 못알아 듣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엄마들끼리 얘기 할때도 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수능 성적표 읽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능시험을 치르고 약 3주뒤면 수능 성적통지표를 받습니다. 수능 통지표에는 영역,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적혀있습니다. 표준점수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평균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점수라고 보면됩니다. 동일한 원점수를 받았더라도 내가 응시한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표준점수는 달라집니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됬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수가 낮아져서 표준 점수 최고점이 높게 나오고, 시험이 쉽게 출제됐다면.. 2023. 2. 22. 대학 입시에 대한 기본 상식과 2024년 대입 전형 특징 입시를 준비하며 꼭 알아야 하는 것들이 많습니다.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님들도 기본 용어와 상식에 대해서는 꿰고 있어야 합니다. 입시는 일종의 전략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입시정보를 얻기 위해 설명회를 가도 기본 단어나 상식을 모르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고 돌아올 수 있습니다. 입시와 관련된 기초 용어를 살펴보고 2024년 대입전형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정시와 수시 가장 처음 접하는 단어가 정시와 수시입니다. 수능 시험 전에 지원하느냐 시험 후에 지원하느냐에 따라 나뉩니다. 정시는 수능 이후 학생을 선발하는 수능 점수를 기반으로 한 제도입니다. 수시는 정시 모집 전에 학생부와 내신을 기반으로 선발하는 제도입니다. 수시는 보통 9월~11월 사이, 정시는 12월~2월 사이에 원서 접수를 진.. 2023. 2. 22.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사이트는 무엇일까 2023년 현재 전세계에는 20억 개 이상의 웹사이트가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 웹사이트 중 트래픽에 따라 순위를 매기면 어떨까요? Visual Capitalize 사이트에서 similat Web을 활용하여 매긴 랭킹을 살펴보면 인사이트를 얻어보겠습니다. 트래픽이 가장 많은 웹사이트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한 웹사이트 목록의 1위는 예상대로 Google입니다. 하루에 35억 건이 넘는 검색이 이루어지는 Google은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찾는 정보 소스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Google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웹사이트인 YouTube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Google과 YouTube를 합치면 다음 48개 웹사이트를 합친 것보다 더 많은 트래픽이 발생합니다. 상위 50위권 내 다른 웹.. 2023. 2. 21. AI 일상화 시대 생성 AI에 대해 알아보자 2016년 구글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AI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이기면서 충격을 주었던 일을 기억하시나요? 2022년 우리는 다시 chatGPT를 경험하면서 다시 AI에게 놀라고 있습니다. 사람 못지않은 글과 그림을 창작해 내는 AI를 보면서 이제 우리 일상에 AI가 가깝게 다가왔음을 실감하게 됩니다. 오늘은 생성 AI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인간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생성 AI (Generative AI)란 생성 AI는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결과물을 생성하는 인공 지능(AI) 알고리즘을 말합니다. 패턴을 인식하고 예측하도록 설계된 기존 AI 시스템과 달리, 생성 AI는 이미지, 텍스트, 오디오 등의 형태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냅니다. GAN (Generat.. 2023. 2. 21. chatGPT와 함께 사용하면 좋을 구글 확장 프로그램 몇 초만에 검색을 물론이고 스토리까지 써주는 chatGPT로 하루하루 놀라고 있는 요즘입니다. 출시 2달 만에 1억 명 사용자를 돌파하면서 기염을 토하게 했습니다. 기록은 세웠다던 틱톡의 이용자 1억 명 달성이 9개월 걸렸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속도입니다. 여기서는 chatGPT를 사용할 때 몇 가지 구글 확장 프로그램을 쓰면 더 편리하게 쓸 수가 있어 몇 가지 공유하고자 합니다. chatGPT 대충 써서는 좋은 답을 얻기 힘들다 한 번이상 사용해 보셨으면 느끼셨겠지만 양질의 대답을 얻기 위해서는 알고 싶은 내용에 대한 명령을 잘 내려야 합니다. 촘촘하고 세부적으로 물어야 그에 맞게 좋은 대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나마도 영어로 질문하고 대답을 받아야 끊기지 않고 제대로 된 답을 받을 수가 있.. 2023. 2. 21. 혼공 전문가 효율적인 인강 듣기 스킬을 알려드립니다 요즘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인터넷 강의를 활용하여 학습이 가능하다. 의지만 있다면 어떤 것이든 인강을 통해 배울 수 있다. 강의로의 접근이 쉬워진 반면 인강의 완강률을 메이저 업체의 단일 강좌를 기준으로 해도 20%가 넘기 힘들다고 한다. 코로나로 집에서 학습하는 사례가 늘었음에서 완강률을 30%를 겨우 넘기는 수준이었다. 고액의 강의료를 내고 인상을 사서 들으면서도 완강을 하지 못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고 인강을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들을 수 있을지 알아보겠다. 인터넷 강의를 완강하지 못하는 이유 예습하지 않는다 예습하지 않고 바로 강의를 들으면 강의를 들으면서 인지하는 정도밖에는 할 수 없다. 50분 강의를 들으면서 겨우 인지만을 하면 인강을 100% 이해해서 활용하기 힘들다. 여기서 예습은 10분.. 2023. 2. 21. 이전 1 ··· 25 26 27 2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