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능성적표2 수능시험 성적 활용 :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 성적표의 해석과 활용 정시로 대학에 지원한다면 어떤 과정을 통해 합격, 불합격이 결정될까요? 수능시험을 보면 성적이 발표되지만 점수 그 자체보다는 대학별로 어떻게 점수를 환산하고 과목별로 어떤 가중치를 적용하는지가 당락을 가르게 됩니다. 이번에는 수능 성적표를 이해해 보고 어떻게 해석해서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모의고사 성적표가 나왔는데 어떻게 봐야 할지 모르겠나요? 표준점수, 백분율, 등급이 무엇인지 알기 쉽게 설명합니다. ↓↓↓ 다음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세하는 수능시험 성적통지표 예시입니다. 하기를 보고 모르는 내용이 많다면 지금부터 꼼꼼히 잘 보셔야 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표에는 원점수가 기재되지 않고 표준점수로 기재되어 있어 이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표준점수 표준점수란, 과목의 응시자 집단에서.. 2023. 3. 8. 국영수 공부는 아이가 입시공부는 엄마가 : 수능 성적표 읽는 법 고등2,3학년 학생이 있다면 이정도쯤은 꿰뚫고 계시겠지만 초중등 엄마들에게는 마치 외계어와 같습니다. 어디가서 정보를 들어도 반은 못알아 듣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엄마들끼리 얘기 할때도 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죠. 오늘은 수능 성적표 읽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능시험을 치르고 약 3주뒤면 수능 성적통지표를 받습니다. 수능 통지표에는 영역, 과목별 표준점수, 백분위, 등급이 적혀있습니다. 표준점수 표준점수는 원점수가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평균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점수라고 보면됩니다. 동일한 원점수를 받았더라도 내가 응시한 시험의 난이도에 따라 표준점수는 달라집니다. 시험이 어렵게 출제됬다면 전체 수험생들의 평균점수가 낮아져서 표준 점수 최고점이 높게 나오고, 시험이 쉽게 출제됐다면.. 2023. 2.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