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과학영재학교 2곳 늘어나 10곳이 됩니다 : 광주와 충북 영재학교 신설

by ※&◆◎ 2023. 3. 11.
반응형

 

2027년까지 미래형 과학영재학교 2곳이 신설됩니다. 기존에 8곳이 있었고 총 10곳이 되네요. 정부추진으로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은 KAIST(한국과학기술원)을 비롯한 4개 과학기술원에 조기진학할 수 있는 트랙을 시범운영한다고 합니다. 이번에 신설되는 과학영재학교에 대한 계획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0. 현재 설립된 과학영재학교 8곳

전국영재고등학교

 

1. 과학영재 발굴 및 육성을 위한 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과학영재 발굴 육성에 대한 국가적, 전략적 역량 결집이 절실한 상황이며 최근 들어 영재교육 수혜자 비율이 감소하는 추세이므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 세 가지 주요 전략을 수립하게 되었다고 말했습니다.

[주요 전략]

◎ 과학영재 발굴 육성 시스템 개선 및 혁신

◎ 과학영재 발굴 육성 정책 영역 확장

◎ 과학영재 발굴 육성기반 공고화

 

1-1.  과학영재 발굴 육성 시스템 개선 및 혁신

1-1-a. 과학영재학교 2곳 신설

기존 8개 영재학교에 더해 광주 GIST 부설 AI영재학교충북 KAST부설 BIO 영재학교로 과학기술원 부설 형태로 2027년까지 설립합니다.

 

1-1-b.. 과학기술원 조기 진학트랙 도입

학국과학영재학교 학생 대생 과학기술원 조기진학 트랙을 시범도입하여 추진하고 과학영재교육 특례자 제도를 운영 활성화 하는 등 과학영재 교육에 박차를 가합니다.

 

1-1-c.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회 출전 실전 기록 가능

영재학교 학교생활기록부에 국제과학 올림피아드 출전 실적등의 이력을 기재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과학기술원 입학전형에 그 실적을 반영할 수 있도록 개선합니다.

 

 

1-2. 과학영재 발굴 육성 정책 영역 확장

1-2-a. 세계로 과학영재 양성, 활동 확장

미국 ACES와 한국과학창의재단 기관 간 협력을 통해 과학영재창의연구를 도입, 아세안+3 과학영재를 활성화한다. 과학영재들과 과학기술 전문가들 간 미팅 자리 마련하고 향후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가 설립되면 수학영재를 양성하는 등의 활동을 지원합니다.

 

1-2-b. 기회사다리

잠재된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1-3. 과학영재 발굴 육성 기반 공고화

1-3-a. 대통령 과학장학금

기존 대학교 학부생 대상으로 수여되었던 대통령 과장장학금을 대학원생 대상으로 확대합니다.

 

1-3-b. 고등교육단계 과학영재 지원 강화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과학기술전문사관 제도를 이공계 대학생 장교를 학사생 25명에 석사생 5명까지 확대합니다.

 

 

일각에서는 사교육을 부추긴다는 의견도 있기는 하지만 과학영재를 조기 양성하고자 하는 정부의 의지는 강하게 느껴지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