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등

고등학교 수학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 내신 수능 어떤 과목 선택해야하나

by ※&◆◎ 2023. 3. 9.
반응형

수학 하나에 과목이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수학은 교과목을 크게 공통과목, 일반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과학계열전문교과로 나누어 고등학교 1학년 때에는 공통과목을 수강하고, 고등학교 2~3학년에는 일반선택과목,  진로선택과목, 과학계열전문교과목 중에서 학생이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습니다. 내신과 수능을 위해 필수 수강해야 하는 과목과 선택과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입시에서 성공하려면 수학이 정말 중요합니다. 23학년도 정시에서도 수학 1등급이 프리패스가 되었죠. 수학 1등급을 위해 어떻게 공부해야 할지 공개합니다. ↓↓↓
 

수학1등급

 


 

■ 수학 교과목

공통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과학 계열 전문 교과
수학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실용수학, 경제수학, 기하,
수학과제 탐구, 인공지능수학
심화수학 Ⅰ, 심화수학 Ⅱ
고급수학 Ⅰ, 고급수학 Ⅱ

 

◎ 공통과목 : 수학

고등학교 1학년 동안 배웁니다. 수능에 직접 출제되는 과목은 아니지만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의 기본이 됩니다. 다른 단원과의 밀접한 관계가 있고 바탕이 되기 때문에 복잡한 식의 계산보다는 정확한 개념의 이해를 목표로 합니다.

단원명

다항식
방정식과 부등식
도형의 방정식
집합과 명제
함수의 그래프
경우의 수
 

◎ 일반 선택 : 수학Ⅰ (수능 공통과목)

일반 선택과목이지만 수능 공통과목이기 때문에 대부분 학교에서 고등학교 2학년 1학기과정으로 배웁니다. 함수의 그래프를 바탕으로 최댓값 고 최솟값, 대칭, 주기, 점등성등을 배우며, 수의 규칙을 발견하는 사고력을 기릅니다. 삼각함수내용이 대부분이고 도형활용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많습니다.

단원명

지수함수와 로그함수
삼각함수
수열
 

◎ 일반 선택 : 수학Ⅱ (수능 공통과목)

수능 공통과목이기 때문에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과정으로 편성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삼차, 사 차 함수와 그래프와 변환율 넓이에 대해 다룹니다. 단원 간의 연계성이 강하기 때문에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개념이 있다면 후속 단원 학습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단원명

함수의 극한과 연속
미분
적분
 

◎ 일반 선택 : 미적분 (수능 선택과목)

수능의 선택과목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3학년 1학기과목입니다. 공학계열로 진학하고자 한다면 상당수 미적분을 선택합니다. 다양한 함수와 그래프를 다루기 때문에 이공계열 진학에는 필수입니다. 복잡한 계산이 많고 고난도 문항이 많이 출제됩니다.

단원명

수열의 극한
미분법
적분법
 

◎ 일반 선택 : 확률과 통계 (수능 선택과목)

수능의 선택과목입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고등학교 2학년 2학기 또는 3학년 1학기에 편성합니다. 다른 선택과목에 비해서는 부담이 적은 편이라 인문계열 학생들이나 수학을 힘들어하는 학생들이 많이 선택합니다.

단원명

경우의 수
확률
통계
 

◎ 일반 선택 : 기하 (수능 선택과목)

수능의 선택과목으로 가장 적은 인원이 선택합니다. 미적분에 비해서는 학습량이나 계산량이 적습니다. 도형에 대한 감각이 필요하여 학생들 학업능력 편차가 큰 과목입니다.

단원명

이차곡석
평면벡터
공간도형과 공간좌표
 

수능 수학 과목
수능 공통 수학Ⅰ, 수학Ⅱ
수능 선택 미적분 : 전체의  40% 선택
확률과 통계 : 전체의 50% 이상 선택
기하 : 전체의 10% 이내 선택

 


 자세한 단원별 목차는 다음 사이트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어요. 공부할 때 활용하시면 도움되실꺼 같습니다. 

 

 

고등수학 (상), (하) 목차

2018년 고1부터 교육과정이 바뀝니다. 그 전 1학년들과 내용에 차이가 있으니 다른 내용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각 게시글 하단의 목차 페이지는 이용하지 말고, 이 목차 페이지를 이용

mathbang.net

 

 

반응형

댓글